名,字,甫(명,자,보)「名」은 正名을 말함. 例컨대 張機의 機는 正名이며 仲景의 「字」이다.後世의 「甫」字는 實際로는 역시 「字」이다. 例컨대 「周學海․澂之甫」는 「周學海」.
- 또 麻疹이 誘發不暢하여 麻毒이 內陷하면 疹點이 內收되어 喘逆等의 變證을 나타낸다.
- 氣有餘便是火(기유여편시화)朱丹溪의 格致餘論에 있음.
- 揆度奇恒(규도기항)[素問,玉機眞臟論] 等篇에 있음.
- 모두 足厥陰肝經의 氣가 絶한 證候이다.
氣營兩燔(기영양번)氣分과 營分의 大鐘穴 邪熱이 熾盛한 病機를 말함. 主要病狀은 壯熱, 煩渴, 神志昏迷, 斑疹이 희미하게 보이고, 舌絳 苔黃燥 等이다. 만약 斑疹이 比較的 많고, 吐血 衄血 便血 抽搐 등의 血分 症狀이 있으면 「氣血兩燔」이라 한다. 氣分證(기분증)溫熱病의 化熱하는 段階로서, 大槪 衛分證에서 發展해온다. 臨床表現은, 發熱이 甚하고, 不惡寒하며, 汗出, 口乾渴, 面紅, 呼吸氣粗 大鐘穴2025 或은 氣喘하고, 小便黃赤而少, 大便秘結 舌苔黃, 脈洪大或滑數 等이다. 不惡寒하고 惡熱하며, 舌苔黃色이 特徵이다.
大鐘穴: 大鐘穴
또 北宋時의 蘇頌이 編한 圖經本草는 藥物 圖譜의 一種이다. 倂病(병병)傷寒病에서 一經의 證候가 未癒한데, 또 다른 一經의 證候가 出現함을 말함. 例컨대 太陽과 陽明의 倂病, 太陽과 少陽의 倂病 등이다. 白淫(백음)① 陰道에서 流出되는 過多한 白色粘液을 말함. 房事過度 或은 下焦濕熱의 所致이다.
古人은 이곳의 望診으로 心病의 診察에 參考가 된다고 보았다. 四海(사해)髓海(腦), 血海(衝脈), 氣海(膻中), 水穀之海(胃)를 말함(靈樞, 海論에 있음). 四診(사진)望診, 聞診, 問診과 切診 등 四種의 診病方法의 合稱. 四診은 반드시 結合해서 運用하여 相互參考해야만 비로서 全面的으로 病情을 理解할 수 있으며 辨證과 治療에 充分한 根據를 提供할 수 있다. 斜飛脈(사비맥)生理上 特異한 一種의 脈位이다.
大鐘穴: 穴位解剖
內熱(實熱 或은 虛熱)로 因해 惹起되는 心胸의 煩悶症狀을 말함. 內部가 막혀 小便이 통하지 않으면 足少陰・足太陽經의 穴位와 骶骨 끝에 있는 長强穴에 長針을 놓아야 합니다. 氣가 上逆하면 足太陰脾經・足陽明胃經・足厥陰肝經에 針을 놓고, (氣의 上逆이) 심하면 足少陰腎經과 足陽明胃經의 動脈 부위에 위치한 經穴에 針을 놓아야 합니다. 十二時(십이시)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鉥 亥의 12時辰을 말함. 時辰은 古代의 시간 단위 이며 1時辰은 2時間에 해당. 子時는 밤 11시에서 다음날 1시까지이며, 丑時는 1시에서 3시까지 이며 餘他는 十二時辰의 순서를 따라 類推된다.
常見症狀은, 兩脇이 氣脹疼痛하고 胸悶不舒한 것으로, 비교적 많이 볼 수 있는 兼症은, 一部 消化機能紊亂의 症狀이다. 肝厥頭痛(간궐두통)厥頭痛이라 略稱한다. 平素 胃氣가 虛寒하여 肝胃의 不和를 招來하고 肝氣에 胃中의 寒濁한 氣가 挾在하여 厥陰經脈으로 上衝해서 頭巓頂痛, 四肢厥冷, 涎沫嘔吐等症을 나타내는 것을 厥陰頭痛이라 한다. 加減葛根葱白湯(가감갈근총백탕)輕可去實로서 麻黃, 葛根의 類이다, 風邪가 外表에 있어서 實證을 形成한 경우, 肌表를 輕開하여 風邪를 除去하는 方藥을 써야 大鐘穴 한다. 小兒의 胎寒 或은 脾胃의 大鐘穴2025 虛寒으로 惹起되는 一種의 病症을 말함.
大鐘穴: 大鐘穴養生按摩方法
②熱病의 後期에 나타나는 것으로, 肝腎의 眞陰이 虧損되고, 元氣大傷, 低熱, 手足心灼熱, 自汗, 盜汗, 神倦, 食少, 口乾舌燥, 舌絳苔少, 脈虛大 等症을 나타낸다. ③內傷雜病인 肺結核 糖尿病의 類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神疲形倦 少氣懶言, 口乾咽燥, 自汗, 盜汗, 潮熱 口渴, 大鐘穴2025 舌紅無苔, 脈虛數 等症이 出現한다. 痙病(경병)熱性病의 進行過程에서 나타나는 背强反張, 口噤不開의 病症을 말함. 主要表現은, 身熱足寒(惡寒時에 頭熱을 느끼고, 面赤 目赤함)하며, 頸項이 强急하고, 背部가 反張하며, 갑자기 口噤하고, 頭部만 搖動하며, 脈이 沈細하거나 或은 勁急을 나타낸다. 本病은 六淫이 侵襲하므로 化燥, 化風한 所致이다. 例컨대 陽明熱이 盛하여 肝風을 일으키고, 或은 心營의 熱이 盛하여 肝風을 일으키는 등이다.
寒氣가 身體의 어느 한 經絡이나 臟腑에 久伏하여, 局部的인 寒證을 形成해서, 오래도록 不癒함을 말함. 例컨대 臍腹冷痛, 淸涎의 嘔吐, 骨節의 拘急疼痛, 四肢不溫 等이다. 대개 脾胃이 虛弱하고, 大鐘穴 內部에 寒飮이나 寒濕이 있는 久痺患者에게 나타난다. 여기서 胸腔과 腹腔이 나누어 진다. 東醫學에서는 膈의 作用이, 胃腸에서 飮食物을 消化하여 생긴 濁氣를 遮隔하여, 濁氣가 心肺를 上熏하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 認識한다. 通常 膈은 呼吸에 따라 昇降運動을 한다.
大鐘穴: 大鐘穴位置: 相關文章
臂陽明有入頄遍齒者, 名曰大迎, 大鐘穴2025 下齒齲取之. 大鐘穴2025 大鐘穴2025 足太陽有入頄遍齒者, 名曰角孫, 上齒齲取之, 在鼻與頄前. 方病之時其脈盛, 盛則瀉之, 虛則補之.
大鐘穴: 穴位配伍
瘀血이 兼挾되면, 小腹이 經痛하고, 舌質이 대개 暗黑色을 띤다. 氣滯를 兼하게 되면, 胸悶 腹脹하고, 大便溏薄 等症을 나타낸다. 散은 不固 不收의 證候를 말하며, 收는 收斂 大鐘穴 收攝 固澀의 作用을 말함.
大鐘穴: 大鐘穴主治疾病
漏汗(누한)表症에 發汗이 過多하여 陽氣가 受傷되어 衛虛不固해져서 汗液이 淚出不止하는 現象을 말함. 汗出過多로 인해 陽氣가 不足해질 뿐만 아니라 津液도 耗損되므로 通常 小便短少, 排尿困難, 四肢의 微拘急, 關節의 屈伸不利等症을 隨伴한다. 冷汗(냉한)畏寒肢冷하면서 汗出함을 大鐘穴2025 말함. 發汗前에 發熱하지 않고 口渴하지 않으며 언제나 精神萎靡, 面色蒼白, 大便浠溏, 小便淸長, 脈沈遲, 舌質淡白, 舌苔白潤等의 寒性症候를 隨伴한다. 대개 평소 陽虛하고 衛氣가 不足하며 腠理가 弛緩되어 일어나며 놀람으로써 惹起되기도 한다.
大鐘穴: 穴位大全
主要症狀은, 子宮內에 塊狀物이 形成되어, 날로 增大해서 姙娠한 것처럼 되고, 閉經을 隨伴하는 等이다. 包塊가 돌처럼 堅硬하므로 이렇게 이름한다. 傷寒(상한)① 病名은 혹은 症候名이다. 廣義의 傷寒은 外感發熱病의 總稱이며 狹義의 傷寒은 太陽表症에 屬하는 하나의 證型이며 그 主要症狀은 發熱 惡寒 無汗 頭項强痛 脈浮緊등이다.
大鐘穴: 大鐘穴位置: 您即將離開本站,並前往大鍾穴位圖解位置 大鐘穴 – 穴道經絡庫
五積病의 大鐘穴 하나이며 肝의 積에 屬함.(難經五十六難) 左脇下에 覆杯와 같은 形象의 腫塊가 突起하며 오래되면 咳嗽嘔逆하고 脈象이 弦細하다. 本病은 대개 肝氣의 鬱結, 瘀血의 停聚에 起因한다. 浮熱(부열)①陰寒이 內部에 盛하여, 虛陽이 外部에 浮出하는 眞寒假熱을 말함. 本節(본절)手部의 手根中手關節(혹은 足部의 中足之關節)이 手背(혹은 足背)에서 外形上 隆起된 곳. 手足에 各 10개의 本節이 있다.
大鐘穴: 大鐘穴:益腎平喘,調理二便
이러한 相合은, 臟腑가 相互 表裏(臟은 陰이고 裏에 屬하며, 腑는 陽이고 表에 屬함)의 關係임을 뜻한다. 腎與膀胱相表裏는 腎과 膀胱 經絡間의 連繫와 一部 生理機能의 相互配合을 通하여 體現된다. 例컨대 膀胱의 排尿에는 腎의 氣化作用이 있어야 한다. 腎과 膀胱의 病症 治療에는 이러한 相合, 相表裏의 關係를 通해 相互 影響을 미칠 수 있다. 例컨대, 小便失禁 或은 小便不通을 治療함에 때로는 治腎에서 着手해야만 좋은 效果를 얻을 수 있다.
大鐘穴: 大鐘穴位的準確位置圖
人迎與寸口俱盛邪倍異常爲關格”이라 하였다. 腎(신)五臟의 하나, “腎爲先天之本”으로, 精을 貯藏하는 臟이다. 腎이 貯藏하는 精은, 飮食物의 不斷한 補充에서 來源하며, 이것이 人體의 生命과 生長發育을 維持하는 基本物質이 된다. 腎精은 또한 骨과髓를 滋養하며, 「靈樞,海論」에서 “腦爲髓之海”라고 하였다. 故로 腎은 腦.髓.骨의 生長 發育 및 그 機能狀態와 직접적인 關係가 있어서, 腎精이 充足하면, 人體는 大鐘穴 자연히 精力이 充溢 해진다.
大鐘穴: 大鐘穴位置: 人體8個特有效穴位!1天10分鐘 補氣養生強體質 穴位詳細圖解
즉 一般的으로 人體의 前面과 上面部位를 말함. 頸癰(경옹)頸의 兩側, 頷下, 耳下, 頦下 등을 包括한 部位에 發하는 癰證을 말함. 대개 風熱, 濕毒 或은 風濕挾痰 등이 小腸․陽明經絡에 壅結되기 때문이며, 或은 乳蛾(扁桃腺炎), 口疳, 齲齒(蟲齒), 頭面瘡癤로 因해 誘發되기도 하며, 小兒에게 多見된다. 그 症狀은, 처음에 發熱惡寒하고, 頸項이 强痛하며, 漸次 紅腫隆起해서, 4~5日後면 皮膚色이 漸紅하고, 腫痛이 激化되는데, 이는 化膿의 징조이며, 大鐘穴 潰破後에 膿盡하면 癒한다. 이는 漢代 以前의 臨床醫學의 著作이다. ②後世醫家들은, 「傷寒論」, 「金匱要略」 등 古典著作중의 方劑를 經方이라 했는데, 그 立方 用藥의 法則이 比較的 嚴格하다.
大鐘穴: 大鐘穴穴位解剖
主要症狀은, 咳嗽하는데 少痰 或은 無痰하고, 身熱口渴하며, 心煩 或은 大鐘穴2025 胸悶 脇痛하고, 尿赤하며, 脈象이 濡滑하고 數한 等症을 나타낸다. 暑穢(서예)暑濕穢濁한 氣를 感受하여 發하는 病症이다. 臨床表現은 發病이 急速하고 頭痛而脹, 胸脘脹悶, 煩燥, 惡心嘔吐, 身熱有汗하고 重症이 되면 神昏, 耳聾 等症을 나타낸다. 例컨대 어떤 有毒性藥物에, 그 毒性을 制限하는 藥物을 配合하여 有害作用의 發生을 막는 것이다.
大鐘穴: 大鐘穴檢視原始碼討論檢視歷史
變蒸(변증)小兒 變蒸의 說은, 西晋의 王叔和가 創始하였다. 所謂 變蒸은, 小兒의 大鐘穴2025 出生後 32日만에 一變하고, 64日만에 一蒸한다. 이렇게 三大蒸을 再加하여 合計 576日로써 變蒸이 끝남을 말함. 徐春甫의 「古今醫統」에서는, “變者性情變易也, 蒸者身體蒸熱也”라 하였다. 變蒸의 臨床表現은, 身微熱하고, 耳 및 臀部가 冷하며, 이밖에 다른 症狀은 없다.